리턴이 존재하는 형식의 메소드 작성.


리턴 타입이 void가 아니며, int, char, String등의 다양한 데이터 타입의 변수를 지정하여


리턴 값을 부여하고 호출하여 재처리 할 수 있음.



작성순서와 실행순서를 분리해서 정리하는 습관을 가져야 후일에 다시 봤을때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일  (0) 2018.05.09
8일  (0) 2018.05.02
7일  (0) 2018.05.01
6일  (0) 2018.04.30
5일  (0) 2018.04.27


메소드 선언,호출, if else 조건문에 대한 문제 작성


다른 학생들의 문제를 풀어보면서 코드를 작성하는 방식에 대한 차이를 느껴봄.


문제 해설을 작성 할 때,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고 있어야 설명이 쉬움. 


개인 발표 기회를 통하여 지식이 아직 완전히 자리잡지 못했다는 사실을 느낌.





'프로그래밍 >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일  (0) 2018.05.09
9일  (0) 2018.05.03
7일  (0) 2018.05.01
6일  (0) 2018.04.30
5일  (0) 2018.04.27



git : git은 자료 저장 및, 버전 관리, 소스 공유를 할 수 있는 웹 어플리케이션.


많은 개발자들이 git을 통해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서로 내용이 겹치지 않고 개발 가능.


소스가 모두 공개되어 있으므로, 좋은 소스의 확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큼.




16진수 :  컴퓨터 분야에서 숫자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진법 방식. 


외국에서는 줄여서 Hex (Hexadecimal) 라고도 부른다. 


20진법도 아니고 10진법도 아닌 어중간한 16진법을 컴퓨터 분야에서 사용하는 이유는 16진수 자릿수 하나가 24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자기기, 특히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이유는 자릿수 2개를 사용하면 28을 표현할 수 있는데, 28은 곧 1바이트이다. 간단히 1바이트의 값을 2진법을 사용해서 0101 1111 식으로 표기할게 아니라 그냥 16진법으로 5F라고 표기해버리면 많이 축약시킬 수 있다. 게다가 훈련이 된 상황이라면 16진법의 숫자만 보고도 바로 2진법 수로 변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당한 유용한 표현 방법이다.


16진법을 2진법으로 바로 변환하려면 각 자릿수를 2진법으로 변환하면 된다.

예를 들면 25FB16를 0010(2) 0101(5) 1111(F) 1011(B)처럼 끊어서 변환한 다음 전부 붙여주고 앞의 00을 떼준 뒤 100101111110112로 적으면 된다.


반대로 2진법을 16진법으로 바로 변환하려면 1의 자리에서부터 4개씩 끊어서 16진법으로 변환해주면 된다.

101110101010101010111101000102를 (000)1 0111 0101 0101 0101 0111 1010 0010로 끊어주고 각각 변환하면 175557A216이 된다.



출처 - 검색, 나무위키.

'프로그래밍 >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일  (0) 2018.05.03
8일  (0) 2018.05.02
6일  (0) 2018.04.30
5일  (0) 2018.04.27
4일  (0) 2018.04.26

+ Recent posts